부산시, 6월부터 공공장소 금연 과태료 부과
(부산=뉴스와이어) 2012년 05월 30일 -- 6월 1일부터 부산시내 전역의 버스정류소(3,270여 곳), 해수욕장(7곳) 그리고 도시공원(어린이대공원, 금강공원, 태종대유원지) 등 공공장소 금연구역에서 흡연을 하다 적발되면 과태료 2만원이 부과된다.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간접흡연의 피해로부터 시민건강을 지키고 담배연기가 없는 건강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버스정류소, 해수욕장, 도시공원’을 공공장소 금연구역으로 지정했다. 시는 이번 제도가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시민의 인지도가 낮은 점을 감안해 올해 5월 31일까지 6개월간 과태료 부과 등 직접적인 단속보다는 계도·홍보위주의 활동을 추진해 왔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1일부터 금연단속공무원 10명을 채용하여 시내 주요 다중집합장소 등에서 계도 및 홍보에 나서고 있다.
또한, 본격적인 단속 실시에 따른 금연분위기 조성 및 시민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5월 31일 오전 8시부터 시 및 구·군 주관으로 ‘공공장소 합동캠페인’을 시내 주요 교차로 등 다중집합장소에서 전개한다. 이번 합동캠페인에는 시 및 구·군 공무원, 금연지킴이, 자원봉사자 등 1,000여 명이 참가하며, ‘공공장소에서는 금연’을 슬로건으로 금연구호 외치기, 금연홍보물 배부, 금연로고를 새긴 손 장갑을 활용한 퍼포먼스 등을 펼친다.
아울러, 시는 6월 1일 해수욕장 개장시기에 맞춰 해운대·광안리·송정·송도의 4개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금연 단속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난 5월 1일부터 해운대구청이 자체적으로 금연단속요원 4명을 채용해 해수욕장 단속활동을 전개하는 등 구·군에서도 자체 단속반을 편성해 공공장소 금연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간접흡연의 피해로부터 시민건강을 지키고 담배연기가 없는 건강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버스정류소, 해수욕장, 도시공원’을 공공장소 금연구역으로 지정했다. 시는 이번 제도가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시민의 인지도가 낮은 점을 감안해 올해 5월 31일까지 6개월간 과태료 부과 등 직접적인 단속보다는 계도·홍보위주의 활동을 추진해 왔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1일부터 금연단속공무원 10명을 채용하여 시내 주요 다중집합장소 등에서 계도 및 홍보에 나서고 있다.
또한, 본격적인 단속 실시에 따른 금연분위기 조성 및 시민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5월 31일 오전 8시부터 시 및 구·군 주관으로 ‘공공장소 합동캠페인’을 시내 주요 교차로 등 다중집합장소에서 전개한다. 이번 합동캠페인에는 시 및 구·군 공무원, 금연지킴이, 자원봉사자 등 1,000여 명이 참가하며, ‘공공장소에서는 금연’을 슬로건으로 금연구호 외치기, 금연홍보물 배부, 금연로고를 새긴 손 장갑을 활용한 퍼포먼스 등을 펼친다.
아울러, 시는 6월 1일 해수욕장 개장시기에 맞춰 해운대·광안리·송정·송도의 4개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금연 단속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난 5월 1일부터 해운대구청이 자체적으로 금연단속요원 4명을 채용해 해수욕장 단속활동을 전개하는 등 구·군에서도 자체 단속반을 편성해 공공장소 금연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출처: 부산광역시청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
부산광역시청 소개
부산광역시청은 36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6년 당선된 허남식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습니다. 허남식 시장은 2020비전을 수립해 부산을 수도권에 대응한 남부권의 중추도시이자 환태평양과 유라시아를 잇는 국제적 관문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부산신항 배후 국제산업물류 도시 조성, 부산항 재개발, 동북아 허브항만 육성, 부산시민공원 조성, 동부산 관광 컨벤션 클러스터 조성, 영화 영상 타운 조성, 문현 금융단지 조성, 동남권 광역교통망 확충, 김해공항 가덕 확장 이전, 하계올림픽 부산 유치를 등 10대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산광역시청은 36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6년 당선된 허남식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습니다. 허남식 시장은 2020비전을 수립해 부산을 수도권에 대응한 남부권의 중추도시이자 환태평양과 유라시아를 잇는 국제적 관문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부산신항 배후 국제산업물류 도시 조성, 부산항 재개발, 동북아 허브항만 육성, 부산시민공원 조성, 동부산 관광 컨벤션 클러스터 조성, 영화 영상 타운 조성, 문현 금융단지 조성, 동남권 광역교통망 확충, 김해공항 가덕 확장 이전, 하계올림픽 부산 유치를 등 10대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뉴스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장마철 대비 한강공원 둔치 퇴적 ‘뻘’ 신속 제거 모의훈련 실시 (0) | 2012.06.04 |
---|---|
부산 해수욕장, 6/1부터 100일간의 대장정 돌입 (0) | 2012.06.01 |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북한산성의 옛 자취를 찾아서’ 운영 (0) | 2012.06.01 |
포항항 개항 50주년 및 시민의 날 맞아 축제 한마당 열린다 (0) | 2012.06.01 |
1일 대천해수욕장 시작으로 충남 해수욕장 잇따라 개장 (0) | 2012.06.01 |
한국관광공사, 창립 50주년 기념 특별사업 추진 (0) | 2012.05.30 |
경기도, ‘2012 경기무형문화재 대축제’ 개최 (0) | 2012.05.30 |
관광공사, MICE 산업 축제의 장 ‘KOREA MICE EXPO 2012’ 개최 (0) | 2012.05.29 |
서울시, 한강 방생에 적합한 어종 소개 (0) | 2012.05.29 |
문화부, 2012·2013년 우수여행상품 인증식 개최 (0) | 2012.05.29 |